본문 바로가기
데스크탑

ssd 종류 / hdd와 차이 / 고르는 법 (Nvme)

by tw_soul 2020. 2. 23.

안녕하세요 링고비 테크 입니다.

 

오늘은 ssd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hdd / ssd 차이?

1) 속도

ssd가 hdd보다 훨씬 빠릅니다. 

일단은 속도 차이가 5배~10배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이게 체감이 아주 클정도로 속도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요즘은 작은 용량이라도 ssd를 사서 장착하는 추세입니다. 

(윈도우 10 기준 부팅 시간이 ssd는 30초 hdd는 2분 정도 걸려버리니 체감이 많이 됩니다.)

 

hdd가 용량이 많고 가격이 싸더라도 부팅 속도가 너무 느려서 못씁니다..

120gb라도 ssd를 장착해서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무게 

크기는 똑같습니다만,

hdd는 들어보면 무겁습니다.

 

그에 비해 ssd 확실히 많이 가볍습니다. 

저장 장치가 반도체로 이루어 져있어 그렇습니다.

그리고 안이 텅텅 비어있는것 처럼 가볍습니다. (실제로 비어있네요..)

ssd 내부 

노트북 같은 경우 무게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무게는 중요한 것이겠죠?

 

3) 내구성

HDD는 물리적 힘에 약하고, ssd는 물리적 충격에 강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떨어뜨린다고 해도 더 무거운 hdd에 충격이 더 많이 가기 마련입니다.

 

hdd
레코드 판

그리고 hdd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레코드 판이 돌아가고 그위의 핀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같이 되어있습니다.

레코드 판이 돌아가며 음악이 재생되는 것처럼 hdd도 원판이 돌아가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옵니다.

 

그래서 저 핀이나 원판이 충격에 의해 조금이라도 손상된다면, 고장나버립니다.

 

 

4) 가격

ssd가 위의 비교에서 앞도적으로 앞서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ssd가 비쌉니다.

ssd가 장점밖에 없는데 가격까지 저렴하다면 말이 안되겠죠?

 

ssd는 용량에 비해 가격이 비싼 반면,

hdd는 비교적 저렴합니다.

 

ssd : 1GB 당 100원 ~ 300원

hdd : 1GB 당 20원 ~ 30원

(5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2. ssd 종류 고르는 방법은?

1) ssd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Sata방식 / m.2 방식 

sata
m.2

속도?

보통 m.2 방식의 ssd가 sata 방식의 ssd보다 3 ~ 5배정도 빠릅니다.

 

 

하지만 대용량 파일을 자주 옮기는 등 하드한 작업을 하지 않는 이상, 체감을 느끼기 조금 어렵다는 평이 많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간단한 작업인, 게임이나, 동영상 편집을 4k 8k로 하지 않는 이상 sata 방식을 구매하셔도 괜찮습니다.

(hdd와 ssd를 비교했을 때 체감이 너무 많이 느껴져서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sata방식과 m.2 방식에도 물론 체감을 느낄 순 있습니다.)

 

 

 

체감? https://quasarzone.co.kr/bbs/board.php?bo_table=qf_storage&wr_id=11894

 

 

2) 컨트롤러? 

ssd에서 cpu와 같은 부분을 담당하는 부품은 컨트롤러 입니다.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꺼내올 것인가?를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안정성이나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보통 시장에서 가장 많은 컨트롤러는 1. 삼성 2. 마벨 3. 실리콘 모션 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인텔, 도시바, 파이슨 등이 있지만 논외로 하겠습니다.

 

- 보통 3대 컨트롤러라고 합니다.

 

1. 삼성 컨트롤러

장점은 자사 컨트롤러이므로 펌웨어 최적화가 잘 되어 있다는 점, 마벨 컨트롤러나 인텔 못지 않은 안정성과 뛰어난 성능을 가졌다. 컨트롤러는 ARM 계열의 칩 설계 경험으로 익힌 기술력을 발휘했다. 삼성 자료에 따르면 300~400MHz 연산 코어를 3개 이상 두어 높은 연산력을 바탕으로 고도의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위와 같이 설명되어 있고, 안정성과 성능이 뛰어납니다. 가격은 조금 비쌉니다만, a/s를 받기가 수월합니다.

 

2. 마벨 컨트롤러

서버급의 안정성을 가진다고 홍보한다. 벤치마크와 실제 속도가 비슷하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그만큼 A/S 기간도 길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가격이 조금 비싼 편이며, 용량에 따른 쓰기 속도의 편차가 꽤 심한 편. 기종에 따라 120GB대에선 매우 처참한 쓰기 성능을 보이는 사례가 꽤 있다.

 

마벨 컨트롤러 또한, 컨트롤러의 대가 입니다. 뛰어난 안정성이 있지만 용량에 따른 복불복이 심하다는평이 있습니다.

 

3. 실리콘 모션 컨트롤러

주로 중저가형에서 보이는 SMI 컨트롤러를 생산한다.

 

중저가 컨트롤러를 생산하는 브랜드입니다. 가성비가 좋다는 평이 많습니다.

 

3) 용량

120GB 250GB 500GB 1TB가 주로 있습니다.

보통 같은 모델의 제품이라도 용량이 크면 성능이 조금 더 좋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용도에 맞게 용량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ssd는 용량이 거의 꽉차게되면 성능이 조금 떨어집니다.

(그래서 통상 10~20% 여유를 두시고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꽉채워서 사용하면 부팅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120GB

60GB 짜리 ssd도 있다만, 보통 가장 작은 용량의 ssd 단위입니다.

문서용 pc 나 노트북에 주로 사용됩니다.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용량이 거의 30GB가 되기 때문에 여유가 없습니다. 

 

간단한 문서작업이나 웹 서핑, 영화나 동영상 저장을 다른 곳에 하시는 분들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2) 250GB

시장 수요가 가장 많은 용량입니다.

보통 120GB는 프로그램 이것저것 설치하고 파일이 조금 쌓이다 보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250GB 정도는 되야 쓸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게임이나 파일을 어느정도 쌓아놓고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이 용량이 가장 적당합니다.

 

3) 500GB 1TB

요즘은 500GB 제품도 많이 사용되지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넉넉한 용량입니다.

영화나 동영상, 사진 등을 어느정도 저장하려는 분께 추천드립니다. 

 

500기가나 1테라가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250GB를 선택하고, 1~2Tb hdd를 따로 구입하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4) 고르는 법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애써 모아놓은 사진들, 동영상들을 저장하고 있거나, 중요한 과제 등을 저장해놨다가 어느날 갑자기 데이터가 모두 날아가버린다면? 정말 크리티컬한 타격이겠죠?

 

그래서 ssd를 고를때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가격이 싸다고 해서 이름모를 제품들을 구입하거나 중고 제품을 구입하시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던, 3대 컨트롤러 제품들을 선택하시면 괜찮습니다.

3대 컨트롤러 제품 외에는 어느정도 상품평이 존재하는 걸 사는게 안전합니다. 

 

믿을 수 있는 좋은 제품이라고 해서 가격 차이가 그렇게 많이 나지 않습니다.

차라리 자기 용도에 맞게 cpu 나 그래픽 카드를 더 신경을 많이 쓰셔서 비용을 절감하는 편이 훨씬 좋습니다. 

 

2. 용량 위에서 말했던 용량을 선택합니다.

 

3. 벤치마크 참고

가성비를 따지려면 가격과 성능을 판단해봐야 겠죠? 

ssd, hdd도 벤치마크 자료를 참고하면 어느정도 성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자료는 3/3일에 업로드 하여 링크를 걸어 두겠습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관심있을 만한 주제

댓글